아파트 구조 알아보기 - 기둥식 구조, 벽식 구조, 무량판 구조의 장단점
안녕하세요. 신참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부실시공으로 문제가 되었던 광주화정아이파크, 검단신도시의 LH아파트 지하주차장이 무량판 구조로 시공되었다는 뉴스가 나오면서 아파트 구조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벽식 구조, 기둥식 구조, 무량판 구조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벽식구조
기둥이 없는 구조로 벽이 천장을 받치는 구조입니다. 2007년부터 10년 간 지어진 500세대 이상의 아파트 98.5%가 벽식구조로 지어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천장에서 벽을 타고 소음이 이어져 내려오기 때문에 층간소음이 심하며, 내력벽을 철거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어 내부구조를 세대별로 자유롭게 구성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장점으로는 튼튼하다는 특징과 함께 저렴한 공사비용과 시공기간이 짧아 주택 공급이 수월하기 때문에 시장에 안정적인 물량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 구조입니다.
2. 기둥식 구조
벽식 구조와 비교해 기둥식 구조(라멘식 구조)는 천장에 수평으로 보를 설치하게 되어 있으며 기둥이 천장을 받쳐주고 있어 보와 기둥이 소음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기에 층간소음이 적다는 장점과 함께, 벽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따라 건축 이후에도 내부 구조와 인테리어를 변경하는 데에 용이해 근린생활시설에 많이 적용되는 구조입니다.
단점으로는 시공기간이 길고 공사비가 약 5~6% 증액된다는 있습니다.
3. 무량판 구조
기둥식 구조와 달리 보가 없이 기둥과 바닥만 있는 구조입니다. 최근 지어지는 대단지 아파트에 적용되고 있는 구조입니다.
부동산 시장이 좋지 않았던 시점에 분양했던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재건축)과 같은 대단지 아파트와 상당수의 주상복합 아파트 또한 무량판 구조로 지어졌습니다.
무량판 구조는 보 거푸집 공사가 덜 필요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벽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구조체의 설계 세부사항도 단순해지며 건물의 골조에 영향을 주지 않고 쉽게 평면배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층의 수직 요소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서 건물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고, 그 결과 건물 자체 무게가 감소하게 되어 개발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고층 건물이 이 기술의 이점을 누리기에 적합합니다. 그리고 무량판 구조에서는 보가 없기 때문에 전기 및 설비배관 등의 작업을 위해 케이블을 구부리거나 보를 관통할 필요가 없어 에어컨덕트, 화재진압덕트, 전기 덕트 등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벽체가 없기 때문에 내부 전체가 완전히 개방되어 더 많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슬라브 두께가 증가합니다. 기둥식 구조에 사용되는 슬라브에 비해 무량판 구조의 슬라브 두께가 더 두껍고 슬라브의 철근량과 콘크리트양이 더 필요하며, 수평 하중에 취약(내진성능 저하)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추가적인 철근보강 등으로 보완할 수 있습니다.
광주화정아이파크, 검단신도시 LH아파트 지하주차장 사고 등으로 인해 무량판 구조에 대한 인식이 나빠졌는데, 제대로만 시공된다면 장점이 많은 구조입니다.
오늘은 아파트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방식으로 건축하냐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설계대로 정직하고 정확하게 시공하는지가 문제일 듯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부동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7. 4,000억 원은 어디로?, 공실에 몸살 앓는 용인 쥬네브 상가 (0) | 2023.08.07 |
---|---|
116. 대중교통도 불편하고 볼 것도 없는 곳, 하이브랜드 상가 (0) | 2023.08.03 |
112. 2023년 하반기 부동산 시장 전망 (0) | 2023.06.28 |
111. 미국은 집값의 99% 대출 가능? (0) | 2023.06.28 |
110. 전세가 두려운 청년들 - 공유 주택으로 몰린다. (0) | 2023.06.01 |